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67)
[통계101 x 데이터 분석 | 5장] 가설검정 5장 가설검정5.1 가설검정의 원리가설검정이란 분석자가 세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이다. 가설검정에서는 p값(p-value)이라는 수치를 계산하여 가설을 지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미리 세운 가설을 검증하는 접근법을 확증적자료분석이라 하고, 가설을 미리 세우지 않고, 전체 데이터를 탐색적으로 해석하는 접근법을 탐색적 자료분석이라 한다. 이는 데이터의 특징이나 경향을 파악하거나, 가설 후보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어떤 조치를 취한 집단을 실험군, 실험군과 대조/비교를 위해 마련한 집단을 대조군이라 한다.귀무가설과 대립가설귀무가설: 신약에 효과가 없다 (모집단 A의 평균 = 모집단 B의 평균)대립가설: 신약에 효과가 있다 (모집단 A의 평균 =/= 모집단 B의 평균)→ 밝히고자 하는 가설의 부정명제를..
[아티클 10] 기술과 혁신 - 혜성같이 등장한 이커머스 골리앗 원문 링크http://niceq.xehub.net/202403-innovation/혜성같이-등장한-이커머스-골리앗핵심 키워드(기사 혹은 책에 등장하는 핵심 키워드 3~5개 + 간단한 설명)헥토콘 기업: 유니콘과 100배를 이르는 ‘헥토’의 합성어로 기업 가치 1조원인 유니콘 기업의 100배의 가치를 지닌 스타트업을 말한다. 10배의 경우 ‘데카콘’이라고 칭한다.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는 시가총액 500조 이상으로 평가받으며, 쉬인의 경우 100조원이 넘는 금액을 투자 유치한 바 있다.핀둬둬: 나스닥에 상장된 테무의 모기업으로,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기업이다. 기업가치는 23년 기준 총 240조로 23년 말 업계 1위 기업인 알리바바를 처음으로 뛰어넘기도 했다.쉬인(SHEIN): 중국의 온라인 패스..
[아티클9] 데이터 분석가에게 필요한 '문제 해결력'이란 무엇일까? 원문 링크https://datarian.io/blog/problem-solving-skills 핵심 키워드(기사 혹은 책에 등장하는 핵심 키워드 3~5개 + 간단한 설명)데이터 분석가: 문제를 정확히 발견하고, 해결을 위한 단서와 방향을 제시하는 사람문제 발견 능력: 지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평소와 다른 점을 빠르게 감지하고, 이상 징후를 포착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문제 조기 발견 능력이 중요. 예를 들어, 일별 매출이나 사용자 수와 같은 핵심 지표에서 평소와 다른 패턴이 나타났을 때, 단순히 수치의 차이를 넘어서 그 뒤에 숨겨진 문제의 가능성을 직관적으로 포착하는 능력을 말한다.원인 진단 및 맥락 이해 능력: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해결 방향 제안 능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